Spring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해 STS(Spring tool suite)를 설치해보자.
개발환경
Windows10(64bit), java 1.8
Related Posts
1.STS로 Spring 프레임워크 개발환경셋팅
2.Spring MVC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톰캣에서 실행하기
3.spring mvc 프로젝트 한글설정(utf8)
4.Windows10pro docker 설치하기
5.Docker에서 mysql설치하고 접속해보기
6.Spring 프로젝트 mysql접속 junit 테스트 하기
7.SpringFramework MyBatis MySQL 연동하기
STS 다운로드
https://spring.io/tools 로 이동 Seel all versions 클릭 후 자신에 맞는 운영체제의 sts 를 다운받는다.
Installer가 아니라 ZIP버전을 다운받았기에 OS에 설치되어 레지스터리를 더럽히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 zip 방식을 선호한다.
STS 실행
해당 압축파일을 C 드라이브로 이동시키고 압축을 푼다.(개인적으로 편의상 C드라이브에 IDE를 설치하는 편이다.)
그리고 압축푼 폴더에 sts-xxx로 시작하는 폴더에 STS.exe 파일을 실행하면 STS가 실행된다.
스프링 프로젝트 JDK 설정
나는 new project에서 spring lagacy project 에서 spring MVC project로 실습을 진행했다.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STS에서 스프링 MVC 프로젝트을 생성하면 JDK 버전을 1.6버전으로 생성한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jdk 버전을 jdk 1.8로 변경해야한다.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 -> Properties -> Project Facets 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자바 빌드패스에서도 확인차 jdk 버전을 확인해 보자.
자바 컴파일러에서도 확인차 jdk 버전을 확인해 보자.
스프링 프로젝트 pom.xml 설정
이제 pom.xml로 이동하자. pom.xml에는 jdk 버전과 spring 버전이 있는데, 기본설정은 너무 낮기때문에 자신에 환경에 맞게 수정해 주자.
pom.xml의 java-version을 1.8로 올려주고, spring 버전도 4.x.x 버전대로 올려주었다.